의비 곽락라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비 곽락라씨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1677년 의빈에 봉해졌으며 1682년 의비로 진봉되었다. 강희제와의 사이에서 세 아들을 낳았으며, 장남은 윤기, 차남은 윤당, 3남은 윤자이다. 옹정제 시대에 아들들과 옹정제, 그의 어머니인 효공인황후와의 갈등으로 인해 미움을 받았고, 1733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33년 사망 - 버나드 맨더빌
버나드 맨더빌은 네덜란드 출신으로 영국에서 의사이자 철학자, 사회사상가로 활동하며 '사적 악덕이 공공의 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역설적인 주장을 펼쳐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이론에 영향을 주었고 윤리, 경제, 정치, 사회에 관한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 1733년 사망 - 아우구스트 2세
아우구스트 2세는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로서 1697년부터 1706년, 1709년부터 1733년까지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를 지냈으며, 폴란드 왕위를 위해 가톨릭으로 개종, 대북방 전쟁에 참여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러시아 영향력 아래 두었고 드레스덴을 문화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 옹정제 - 각혜황귀비
각혜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효의인황후의 여동생이자 효강장황후의 조카이며, 귀비에 책봉된 후 황귀비, 황조수기황귀태비로 추존되었고, 숙혜라는 시호를 받았다. - 옹정제 - 지정은제
지정은제는 명나라 일조편법을 계승하여 인두세를 폐지하고 지세로 통합함으로써 조세 제도를 간소화한 중국의 조세 개혁 제도이다.
의비 곽락라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의비 |
본관 | 곽락라씨 |
출생 | 1660년 |
사망 | 1733년 10월 2일 (73세) |
사망 장소 | 베이징, 자금성 내 항친왕(恒親王) 저택 |
묻힌 곳 | 청동릉 경릉 |
배우자 | 강희제 |
자녀 | 윤기, 항친왕 윤당 윤자 |
가문 | 곽락라씨 (출생 시) 애신각라씨 (결혼 후) |
아버지 | 삼관보 |
종교 | 불교 |
2. 생애
의비 곽락라씨는 무협(상관보)의 딸로, 사령에 임명되었다. 여동생은 강희제의 후궁인 귀인이다.[7]
1677년 자금성에 입궁하여 궁녀가 되었다가, 같은 해 8월에 강희제의 총애를 받아 후궁이 되었고, 의빈(宜嬪)으로 봉해졌다.[5] 1682년(강희 20년) 12월, 의비로 진봉되었다.
의비는 아들 셋을 낳았는데, 이들은 훗날 옹정제가 되는 황자 윤진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의비 역시 윤진과 그의 생모 덕비에게 오만하게 대했다. 이들은 옹정제의 미움을 샀고, 강희제의 장례식에서 의비는 옹정제에게 책망을 받았다.[8] 옹정제 시대에 의비의 차남 윤당이 주살되었고, 장남 윤기도 실의 속에 죽었다. 1733년(옹정 11년) 윤기의 죽음 다음 해에 의비는 훙거했다.[8]
2. 1. 가계 배경
의비는 만주 정황기 출신으로, 아버지는 3품 문관(시랑)을 지낸 산관보(三官保)이다.[3] 조부는 안타무(安塔穆)이다.직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산관보(三官保) | 3품 문관(시랑) |
조부 | 안타무(安塔穆) | |
형제 | 도보(道保) | 2품 무관(부도통) |
다푸쿠(多普库) | 4품 무관(좌령) | |
터푸쿠(特普库) | 4품 무관(좌령) | |
어푸쿠(鄂普库) | 5품 문관(랑중) | |
타푸쿠(他普库) | ||
지넝터(及能特) | ||
자매 | 귀인(貴人) | 강희제의 후궁, 고륜각경공주와 윤저의 생모[4] |
2. 2. 강희제 시대
1677년 자금성에 입궁하여 궁녀가 되었다. 같은 해 8월, 강희제의 총애를 받아 후궁이 되었고, 의빈(宜嬪)으로 봉해졌다.[5] 1680년 1월 5일 황제의 다섯 번째 아들 윤기를 낳았다. 1681년 12월, 동가씨가 황귀비로 진봉되었고, 영빈, 의빈, 울라나라씨의 혜빈과 빈은 "빈"으로 진봉되었다.[6] 1682년(강희 20년 12월)에 의비로 진봉되었다.1683년 10월 17일, 황제의 아홉 번째 아들 윤당을 낳았다. 1685년 6월 8일, 셋째 아들인 윤자(胤禌)를 낳았으나, 윤자는 1696년 8월 22일 요절하였다.
1699년 8월 20일, 민빈 장씨가 사망하자, 의비는 2품 공주 '''온극'''을 돌보았다. 또한 여동생의 딸이자 강희제의 여섯 번째 딸인 과경공주도 돌보았다.
그녀의 아들들은 훗날 옹정제가 되는 황자 윤진과 사이가 좋지 않았으며, 의비 역시 윤진과 그의 생모 덕비에게 오만하게 대했다. 이 때문에 옹정제의 미움을 샀고, 강희제의 장례식에서 옹정제에게 책망을 받았다.[8]
2. 3. 옹정제 시대
강희제는 생전에 칙령을 내려, 사후에 왕자들이 늙은 어머니를 자신의 집으로 모셔 살 수 있지만, 매달 어용정제를 직접 알현하고 황후를 뵈러 궁궐에 가야 한다고 발표했다. 따라서 의비는 옹정 원년(1723년) 6월 아들 항친왕 윤기의 저택으로 거처를 옮겼다.[7]옹정제 시대에 의비의 차남 윤당이 주살되었고, 장남 윤기도 실의 속에 죽었다. 윤기의 죽음 다음 해(1733년) 의비는 훙거했다.[8]
3. 자녀
강희제와의 사이에서 3남을 얻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항온친왕 윤기 | 1680년 | 1732년 | 강희제 때 황실 법도로 징치 처분되어 종인부에 유폐됨[1] |
혁군왕 윤당 | 1683년 | 1726년 | 옹정제 때 황실 법도로 징치되어 종인부에 유폐됨[1] |
윤사 | 1685년 | 1696년 | 11세의 어린 나이로 사망[1] |
4. 기타
의비 곽락라씨에 관해서는 알려진 추가 정보가 없다. 드라마 《강희미복사방기》에 등장한다.
4. 1. 평가
의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총애를 받았다. 강희 16년(1677년)에 의빈으로 봉해졌고, 강희 20년 12월(1682년)에는 의비로 진봉되었다.[7] 그러나 의비의 아들들은 옹정제와 사이가 좋지 않았고, 의비 역시 옹정제의 생모인 효공인황후에게 오만하게 대했다. 이 때문에 옹정제의 미움을 사서 강희제의 장례식에서 옹정제에게 책망을 받았다.[8] 옹정제 시대에 의비의 차남 윤당은 주살되었고, 장남 윤기도 실의 속에 죽었다. 윤기가 죽은 다음 해인 옹정 11년(1733년)에 의비는 세상을 떠났다.4. 2. 대중 매체
드라마 《강희미복사방기》에 등장한다.참조
[1]
서적
愛新覺羅宗譜
[2]
서적
清代后妃雜識
上海社會科學院出版社
2022-09
[3]
기록물
總管內務府為奏准安塔木解任司庫三官保繼任佐領及佐領辛達里掌官防事咨盛京佐領辛達里等
遼寧省檔案館
[4]
서적
清代后妃雜識
上海社會科學院出版社
2022-09
[5]
서적
九王奪嫡
山西人民出版社
2021-04
[6]
역사기록
清實錄·清聖祖實錄·卷之九十九
[7]
기록
夜談隨録
[8]
역사기록
国朝宮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